뉴스
HOME    >    뉴스
뉴스 .
트렌드 뉴스 2023 / 05 / 09
트렌드 뉴스 2023 / 05 / 08
트렌드 뉴스 2023 / 05 / 04
韓 AI챗 '아숙업', 日국민 메신저 '라인' 타고 세계로
기사내용 요약카카오톡 이어 라인 진출…해외 공략 속도日경쟁자 'AI챗군'…아숙업 "OCR로 차별화"[서울=뉴시스] 오동현 기자 = 국내 스타트업이 개발한 인공지능(AI) 챗봇 서비스 '아숙업(AskUp)'이 일본을 발판으로 본격적인 해외 시장 공략에 나선다. AI 스타트업 업스테이지는 카카오톡 채널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아숙업'을 일본의 국민 메신저 '라인(LINE)'에 5일 공식 출시한다.'아숙업'은 오픈AI의 차세대 언어 모델인 GPT-4와 업스테이지의 광학문자판독(OCR) 기술을 결합, 자연어 대화를 통해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는 AI 챗봇 서비스다. 최근에는 챗GPT의 한계로 꼽히는 실시간 검색과 이미지 생성 기능까지 추가되면서 출시 두 달여 만에 이용자 90만을 돌파했다.일본 'AI챗군'이 경쟁자?…'아숙업' OCR·검색엔진·이미지생성 등 차별화일본에도 GPT API(응용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활용해 라인에 연동한 'AI챗군'이 140만 이용자를 이끄는 등 생성 AI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아숙업'은 단순 GPT 연동 수준을 넘어 이미지를 처리하는 OCR 기술, 실시간 검색, 이미지 생성 기능과 최근 추가된 음식 인식 기능 등을 구현함으로써 경쟁 서비스 대비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췄다는 업스테이지 자체 분석이다. 라인 이용자들은 별도 인증 없이 친구 추가만으로도 현재 카카오톡에 적용된 아숙업의 모든 기능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본의 AI챗군의 경우 하루 5회까지 무료로 사용하고 이후 과금하는 방식이지만, 아숙업은 국내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GPT-3.5 메시지 100건과 GPT-4 메시지 10건을 무료로 제공한다.아숙업은 최근 글로벌 AI 경진대회 ‘ICDAR 로버스트 리딩 컴페티션’ 4관왕을 휩쓴 업스테이지 OCR의 우수한 일본어, 영어 인식률을 자랑한다. 카카오톡에 론칭 후 아숙업은 학습 자료, 사업자 등록증, 계약서 등 다양한 서류까지 처리가 가능해 ‘눈 달린 챗GPT’로 국내에서 유명세를 얻었다.특히 이번 라인 서비스 출시로 텍스트 문서나 손글씨 이미지 등을 아숙업에 보내면 번역된 내용과 함께 답변을 메신저에서 바로 받을 수 있어 라인의 이용자들이 밀집한 일본과 동남아시아 등 문서의 디지털화가 필요한 지역에서 더 유용한 활용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아숙업은 업스테이지만의 프롬프트 튜닝 노하우와 정교한 파인튜닝 기술을 적용, 사용자의 의도와 감정까지 감지해 일본어에 최적화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또한 GPT-4를 탑재해 한국어, 일본어를 포함한 27개 언어와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활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높다. 아울러 아숙업은 검색 기능을 접목해 2021년까지의 정보만 학습한 챗GPT와 달리 실시간 정보까지 찾아서 빠르게 답변해 준다. 답변한 정보의 출처까지 링크를 달아 챗GPT의 한계인 말을 만들어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할루시네이션(환각)'을 보완하고, 이용자가 정보의 정합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최근에는 이미지 생성 기능을 새롭게 추가해 글자를 읽는 눈에 이어 그림 그리는 손까지 갖췄다. 업스테이지가 개발한 이미지 생성 모델 '업스케치(Upsketch)'는 파인튜닝을 통해 짧은 프롬프트만 입력해도 높은 품질의 그림을 생성해준다.나아가 업스테이지는 AI 헬스케어 스타트업 두잉랩과 손잡고 아숙업에 '푸드렌즈'를 적용, 음식 분석 기능까지 더했다. 푸드렌즈는 아숙업에 음식 사진을 전송하면 칼로리, 성분 함량 등 다양한 영양 정보를 분석하고 기록해 주며, 식단에 대한 조언도 제공한다.月 9400만명 쓰는 '라인' 타고 동남아 등 글로벌 진출 속도업스테이지는 월간 활성 이용자(MAU) 9400만 명에 이르는 일본 최대의 메신저 플랫폼 라인에 아숙업을 결합, 이를 교두보로 본격적인 글로벌 진출에 속도를 낸다는 구상이다. 이에 일본 상륙을 필두로 태국과 대만, 인도네시아 등 라인 점유율이 높은 국가를 대상으로 점진적인 서비스 확대를 준비 중이다.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100만 채널 친구를 눈앞에 둔 명실상부 국내 최고 챗 AI로 자리매김 한 아숙업이 이제 본격적인 해외 진출을 통해 글로벌 플랫폼으로 거듭나고자 한다"며 "업스테이지는 세계 최고 기술력을 바탕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편리하고 혁신적인 AI를 경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한편, 업스테이지는 글로벌 기업들을 위한 서비스로 API시리즈, AI팩과 더불어 아숙업 비즈(AskUp Biz)도 운영하고 있다. 아숙업 비즈는 ▲다양한 문서를 읽고 챗 AI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아숙업 Doc' ▲홈페이지 정보를 홈페이지 방문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할수 있는 '아숙업 웹' ▲업무용 툴인 슬랙에서 활용할 수 있는 '아숙업 슬랙' 등 세 가지로 구성돼 있다.
2023-05-04 출처 : NAVER IT NEWS
트렌드 뉴스 2023 / 05 / 03
트렌드 뉴스 2023 / 05 / 02
트렌드 뉴스 2023 / 04 / 28
트렌드 뉴스 2023 / 04 / 27
트렌드 뉴스 2023 / 04 / 26
트렌드 뉴스 2023 / 04 / 25
트렌드 뉴스 2023 / 04 / 24
“에이닷+이루다=?” SK텔레콤, AI 챗봇 이루다 개발 스캐터랩에 150억 투자
‘한국형 AI 동맹’ 발판 글로벌 진출 노리는 SKTSK텔레콤이 150억원 지분 투자한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스캐터랩에서 만든 AI 챗봇 ‘똑똑이’와 기자가 나눈 대화. 스캐터랩 서비스 갈무리“똑똑아, 너 SK텔레콤이 스캐터랩에 150억 투자했다는데 알고 있어?”“응, 알아! SK텔레콤이 스캐터랩에 150억 투자한 거 맞지? 대박이야!”“(SK텔레콤) 에이닷의 AI 대화 서비스도 좋아지겠지?”“물론이지! SK텔레콤과 스캐터랩이 함께 하면 에이닷의 AI 대화 서비스 역시 성능이 향상되어 더 많은 이용자들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거야.”SK텔레콤이 인공지능(AI) 챗봇 ‘이루다’를 개발한 스캐터랩에 150억원 지분 투자를 한다고 발표한 24일. 기자가 스캐터랩에서 챗GPT를 기반으로 만든 챗봇 ‘똑똑이’와 나눈 대화 내용이다. 스캐터랩은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사람처럼 친근한 대화를 할 수 있는 ‘관계 지향형’ AI를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AI 컴퍼니’로의 전환을 선언한 SK텔레콤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다양한 국내 기업들과 ‘한국형 AI 동맹’을 맺고 있다.SK텔레콤은 스캐터랩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AI 에이전트와 초거대 언어 모델(LLM) 개발 등 AI 전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을 추진키로 했다. SKT텔레콤은 대화형 AI 서비스 에이닷에 스캐터랩 기술을 적용하면 이용자의 고민이나 외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사람보다 사람 같은’ 서비스로 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SK텔레콤이 스캐터랩에 거액을 투자한 배경은 그만큼 시장 전망이 밝기 때문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마켓은 대화형 AI 시장 규모가 2021년 68억달러(약 7조8000억원)에서 2026년 184억달러(약 22조원)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두 회사는 초거대 언어 모델(LLM)도 공동으로 개발한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스캐터랩과 협력을 통해 사람처럼 감성을 나누고 공감해주는 감성 영역과 방대한 양의 지식 데이터 확보, 학습, 평가 과정을 거쳐 높은 수준의 지식 영역이 결합된 새로운 개념의 LLM을 개발하겠다”고 말했다.SK텔레콤은 국내 AI 기업들과 동맹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지난 2월26일(현지시간)에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3’ 개막을 하루 앞두고 몰로코, 베스핀글로벌, 사피온, 코난테크놀로지, 스윗, 팬텀AI 등과 의기투합해 ‘한국형 AI 동맹’을 출범시켰다. SK텔레콤은 빠르게 변하는 초거대 AI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작지만 강한 기업들과 손잡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스캐터랩 김종윤 대표는 “SK텔레콤과의 협력을 통해 ‘소셜 AI’를 위한 초거대 모델 학습 등 기술 고도화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 에이닷 김용훈 추진단장은 “한국형 AI 동맹을 중심으로 개방과 협력을 근간으로 AI 생태계 활성화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2023-04-24 출처 : NAVER IT NEWS
이전10페이지 바로가기 이전페이지 바로가기 14 15 16 다음페이지 바로가기 다음10페이지 바로가기
(사)서울온라인비즈니스협회
07328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6길 30, 백상빌딩 5층 509호
고객 지원
오전 09:00~오후18:00(월~금)
[전화] 02-6013-4284
[메일] onbiz@onbiz.or.kr
Copyright ONBIZ,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에 게시되어 있는 이메일 주소가 '이메일 주소 수집 프로그램' 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사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9일]